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독서리뷰
- 할아버지11개월바이올린악보
- 피아노악보
- 악보
- 할아버지11개월
- 바이올린왼손
- 취미바이올린
- 삼성마을
- 바이올린입문
- 취미악기
- suzuki violin method
- 할아버지11개월악보
- 바이올린
- 바이올린스케일
- 바이올린취미
- 바이올린동요
- 바이올린레슨
- 바이올린테크닉
- 왼손운지
- 독후감
- 바이올린악보
- 바이올린연습방법
- 바이올린자세
- 바이올린초보
- 바이올린기초
- 바이올린왼손연습
- 선의법칙
- 클래식
- 바이올린수업
- 무료악보
- Today
- Total
바이올린과 soso 한 일상
클래식 곡 이름의 숫자들 본문
먼저 영상부터 보실까요?
https://youtu.be/vGq3-Fi_zQY
익숙한 음악이죠?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거예요.
이 음악의 곡명은
L. v. Beethoven Piano Sonata No. 15 Op. 28 'Pastorale' in A Major Ⅱ. 'Andante cantabile'
입니다.
베토벤이 작곡한 소나타인 것은 알겠는데, 뒤에 숫자들이 세 가지가 나오죠.
No. 15, Op. 28, 그리고 로마 숫자로 Ⅱ가 표기되어있어요.
1. No.
No. 는 여러분들 아시다시피 number의 약어로 앞에 있는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에서 15번이라는 것입니다.
한 작곡가가 동일한 장르를 작곡했을 때 각 곡을 No. 1, No. 2 등등으로 표기되는데,
그 순서는 작품이 완성되거나 출판, 초연 등등의 시기 순으로 되어있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간혹 예외의 경우도 존재합니다.
2. Op.
Op. 는 Opus의 약자로 라틴어로 '일' 또는 '작품'으로 해석합니다.
음악에서는 '작품 번호'로 해석하죠.
작곡가의 전체 작품을 정리하며 부여된 번호로, 이 또한 작품 완성, 출판, 초연 등등의 시기 순으로 정리되어 있고,
물론 예외의 경우도 있습니다.
특정 작곡가들은 작품 번호를 Op. 가 아닌 다른 문자가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 이런 경우는 출판 당시 작품 번호가 없는 경우이며,
후세에 음악을 정리하는 음악학자들이 번호를 붙이고 특정 약어를 사용합니다.
아래 표는 대표적인 작곡가들의 특수한 작품 번호 표기법입니다.
하인리히 쉬츠 (Heinrich Schütz, 1585~1672) |
SWV |
Schuetz Werke Verzeichnis |
안토니오 비발디 (Antonio Lucio Vivaldi, 1678~1741) |
R. |
덴마크의 음악학자 페테르 뤼옴이 붙였다.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
BWV |
바흐 작품 번호: 바흐 협회에서 붙였다. |
요제프 하이든 (Franz Joseph Haydn, 1732~1809) |
Hob. |
호보켄 번호 또는 호보켄 작품 목록(Hoboken-Verzeichnis)은 요제프 하이든이 작곡한 750여 곡을 분류한 작품 목록으로, 안토니 판 호보켄이 만들었다.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
KV. 혹은 K. |
쾨헬번호: 독일의 식물학자이자 음악학자인 루트비히 폰 쾨헬이 붙였다. |
루드비히 판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
작품 일부: Bia, WoO(Werke ohne Opuszahl, Works w/o Opus no.) |
베토벤의 작품 중 번호가 안 붙은 곡을 분류.(Bia번호는 교향곡 10번에만 붙어있다.) |
프란츠 슈베르트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
D. |
도이치 번호: 오스트리아의 음악학자 오토 에리히 도이치가 붙였다. |
프란츠 리스트 (Franz Liszt, 1811~1886) |
S. |
험프리 설(Humphrey Searle)이라는 음악학자가 자신의 이름의(Searle) 첫 글자를 따 붙였다. |
바르톡 밸러 (Bartók Béla, 1881~1945) |
SZ. , BB. , DD. |
안드라스 죌뢰지(András Szőllősy , Sz.), 라즐로 솜파이(László Somfai , BB.) , 데니츠 딜(Denijs Dille, DD.) 세 사람에 의해 정리되었으며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sz.와 BB.를 함께 사용하는데, 죌뢰지나 솜파이는 바르톡의 발표되지 않은 초기작품이나 습작에 대해서는 따로 분류를 하지 않은 관계로 그의 초기 작품은 DD. 번호를 사용하여 분류한다. |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9E%91%ED%92%88_%EB%B2%88%ED%98%B8
3. 로마 숫자 등등 곡 명 뒤에 붙는 숫자
악장을 표기한 것입니다.
악장(movement, 樂章)이란
하나의 악곡이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각 부분이 제각기 완결적인 독립성을 갖고 있을 때
그 각 부분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위와 같은 소나타와 교향곡, 협주곡, 실내악곡 등으로
보통 3~4악장 또는 그 이상의 악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악장의 표기 방법도 다양한데, 로마 숫자 대문자 혹은 소문자로 표기하거나, 1st movement, 2nd movement... ,
혹은 간편하게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악장 숫자 뒤에는 해당 악장의 빠르기말이 붙게 됩니다.
빠르기말은 곡의 전체 빠르기 뿐만 아니라 해당 곡의 분위기에 대해서도 덧붙여 표기하기도 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악장마다 표기되는 빠르기말과 그와 함께 자주 사용하는 음악 용어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음악과 관련된 soso한 이것 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식 음악 빠르기 말 (0) | 2020.05.04 |
---|---|
원하는 악보 찾는 법 4 - 해외 무료 사이트 (0) | 2020.04.16 |
원하는 악보 찾는 법 3 - imslp (1) | 2020.04.16 |
원하는 악보 찾는 법 2 - 국내 사이트 (유료, 무료) (0) | 2020.04.10 |
원하는 악보 찾는 법 1 (1) | 2020.04.10 |